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알리기 위해 벌써 4번째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 구글 서치 콘솔, 구글 검색 원리, 저품질을 피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들을 알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 직접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티스토리 기준) 아직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초기라 티스토리 블로거 관점에서 작성해보겠다.
우선 사이트맵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이트에 있는 모든 것들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이다.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이 효율적으로 크롤링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며 사이트맵은 중요한 페이지와 파일과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사이트맵이 필요한 경우
- 매우 큰 사이트: 방대한 데이터양으로 웹 크롤러가 업데이트 사항을 모를 수 있음
- 서로 잘 연결되지 않은 콘텐츠들의 대규모 자료실: 사이트 내 페이지의 자료들이 서로 연관성이 떨어질 경우 크롤러가 누락시킬 수 있는데 그걸 방지함
- 신규 블로그와 같은 외부 링크가 많지 않은 새로운 사이트: Googlebot과 같은 웹 크롤러는 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따라 이동하여 웹을 크롤링하는데 연결고리가 없는 신생의 경우 시작 자체를 못하게 됨
- 미디어 콘텐츠(동영상, 이미지)가 많거나 뉴스에 표시가 필요한 사이트: Google에 사이트맵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면 검색에 적절하게 사용 가능
RSS란 무엇인가?
우리말로 '정말 간단한 배급'이다. 내 블로그에 글을 올렸을 때 내 블로그에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RSS 서비스를 통해 관련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네이버 뉴스를 보면 여러 언론사 사이트를 모두 방문하지 않고 다양한 기사를 네이버 뉴스 한 곳에서 보는 것과 같다.
RSS를 등록하는 이유?
다음, 티스토리 사용자는 구글/네이버에 RSS 등록을 해야 구글과 네이버에 티스토리 글이 노출된다. 물론 네이버 구글 크롤링 봇이 열심히 일하다가 발견하면 등록되기도 하고, 본인이 엄청 유명한 글이면 여기저기 참조되므로 크롤링 봇에게 쉽게 수집된다고 본다. 하지만 신생 블로그의 경우 열심히 RSS 등록을 해줘야 한다.
티스토리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방법
티스토리 관리자를 클릭하면 왼쪽에 플러그인이라고 하는 부분이 보인다.
플러그인을 클릭하면 티스토리를 사용하면서 활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들이 나타난다. 그중 구글 서치 콘솔을 찾아본다.
순서대로 1. 구글 서치 콘솔 클릭 -> 2. 계정 연결하기 -> 3. 계정 선택 의외로 매우 간단하게 설정이 완료된다.
잘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플러그인에서 구글 서치 콘솔 클릭-> 위 그림의 바로가기 클릭
왼쪽에 Sitemap을 클릭하면 제출된 사이트맵이 나타나게 된다.
현재 sitemap.xml은 등록된 상태고 구글에서 확인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제 rss를 등록해야 한다. rss를 입력하고 제출하면 성공 혹은 가져올 수 없음으로 나오는데 보통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조금 기다리면 성공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이제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검색하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 sitemap과 rss 둘 다 성공이었는데 블로그에 작성을 한다고 수동으로 한 걸 플러그인으로 재 설정하는 바람에 sitemap이 가져올 수 없음으로 변경되었다. 이럴 경우 시간이 해결해 준다고 보면 된다.
나 역시 블로그 하겠다고 등록하는 것처럼 전 세계에서 엄청 많은 수의 웹페이지가 등록되고 있기 때문에 크롤링 봇이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을 기다리는 게 맞다. 하지만 또 성격이 조급하신 분들은 크롤링 봇이 자동으로 찾기 전에 URL 검사에 https://본인 주소. com/sitemap.xml로 실제 URL테스트를 한 다음 색인 생성 요청을 하면 조금 더 빠를 수도 있다고 한다.
네이버 RSS 및 사이트맵 등록 방법
우선 https://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접속한다.
오른쪽에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 한다. 본인의 사이트를 입력하면
사이트 소유확인을 해야 하는데 HTML 태그를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에서 플러그인에 있는 메타태그 플러그인을 사용해 아래 오른쪽 사진 입력 부분에 복사해 줍니다.
메타태그에 입력 후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로 들어가 소유권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소유 확인 완료가 뜬다.
사이트를 클릭해서 들어간 다음 우선 웹페이지 수집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아래 화면에서 요청 -> RSS제출 클릭 후 본인 블로그 주소/rs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제출된 RSS에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요청 -> 사이트맵 제출도 한다.
이제 구글과 네이버에 등록은 끝났다. 우선 며칠간 지켜보면서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등록되는지 확인하고 블로그 운영에 필요한 부분은 계속 공부해 나갈 예정이다. 등록만 한다고 검색이 잘되는 것은 아니다. 주제가 겹치면 다른 블로그들의 글들이 먼저 노출되겠지만 계속 운영하면서 우선적으로 노출되는 방법을 연구해 보겠다.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후 산책 다이어트 효과 (0) | 2022.11.01 |
---|---|
티스토리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가져올 수 없음(HTTS 오류) (0) | 2022.10.28 |
구글 검색에 블로그 노출 시키기 위한 콘텐츠 품질 이해 (0) | 2022.10.25 |
구글 검색에 블로그 노출 시키는 윈한 구글 검색 원리 이해 (0) | 2022.10.24 |
구글 검색에 블로그 노출 시키기 위한 구글 서치 콘솔 (0) | 2022.10.24 |
댓글